산행방(2008)

2008_03_07(수락산)

소실봉 2008. 7. 16. 01:47
 

 

 

 

수락산(水落山) 번개 산행(마들역→도솔봉)-1

 

 

2008.3.7(금)에 교교 산행 친구들과 수락산(水落山) 산행을 했다. 수락산은 서울시 노원구, 경기도 의정부시, 남양주시 별내면의 경계에 있는 높이 638m의 산이다. 수락산 남쪽에는 불암산(508m)이 솟아있고, 도봉산과 함께 서울의 북쪽 경계를 이룬다. 수락산은 바위가 많고 아기자기한 암봉들이 줄을 이었으며, 조망도 좋고, 교통도 편리해서 많은 산행객들이 찾는 곳이다.

▶ 산행코스(지도에서 청색선) : <마들역(10:00)>→<철탑(11:45)>→<탱크바위(12;15)>→<점심식사(12:30~13:20)>→<수락산주봉(15;40)>→
                                               <석림사(17:00)>→<장암역 입구(17:30)>   ※ 총산행시간 : 7시간30분(점심시간 50분 포함) 

 

< 수락산 산행 지도 >

 

1. 마들역을 오전 10시에 출발해서 아파트를 지나서 수락산으로~~ 

 

2. 바위를 타고 올라가는 친구


3. 능선을 오르면서 바라다 본 서울시 : 노원구와 도봉구 및 그뒤의 삼각산이 보인다.

 

4. 산책로 같은 산행길 

 

5. 보호 난간이 철치된 암반길  

 

6. 남쪽으로 불암산 정상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불암터널이 보인다.

 

7. 탱크바위 : 左측으로해서 탱크바위를 올라가다가 위험해서 중도에서 내려왔다. 건데 내려오기도 쉽지않았다.

 

8. 암봉 중간(빨간 등산복을 입은 여성들이 있는 곳)에서 점심을 먹었다.(물론 여성들이 방을 빼준후에~~)_

 

9. 암석 틈사이로 비집고 나와서 자란 소나무

 

10.

 

11. 도솔봉(540m) : 봉우리는 南쪽에서 올라갈려면 로프를 메어둔 곳이 있긴하나, 겨우 한사람이 몸체를 옆으로 돌려야 만 어렵게 올라 갈
     수 있다. 그러나 北쪽에서 올라가면 南쪽보다는 보다 용이하게 오를 수 있다. 몸통이 굵거나 히프가 큰 사람은 南쪽에서 올라가는 것은
     힘들다. 물론 봉우리를 돌아서 갈 수가 있는 우회로가 있으니 억지로 올라갈 필요는 없다.       

 

12. 봉우리에 올라가서 올려다본 수락산 북쪽  


13. 남양주시 별내면의 아파트군 


14. 삼거리 : 수락산 정상까지는 0.8km

 

15. 치마바위를 올라가는 친구


16. 돼지코 바위

 

● 하강바위(달걀바위)


17 꼭대기에 태극기가 휘날리는 하강바위(달걀바위)

 

18. 로프를 잡고서 하강바위로 오르는 친구


19. 거시기 바위(?)


20. 하강바위에서 내려다본 남양주시 별내면의 아파트 군

 

21. 하강바위에서 본 '코끼리바위'


22. 하강바위에서 본 수락산 북쪽 : 左측 아래에 '코끼리바위'가 보인다.


23. 태극기가 휘날리는 하강바위 꼭대기 


24. 하강바위(달걀바위)를 내려와서 올려다 본 하강바위(달걀바위) : 달걀모양으로 둥그렇다.  


25. 암봉

 

26. 철모바위


27

 

● 수락산 정상


28. 태극기가 휘날리는 수락산 정상


29. 갈림깅에서 정상까지는 0.51km라고 ? 정상까지는 대략 100m정도인데~~


30. 정상으로 올라가는 마지막 계단길

 

                        31. 수락산 정상(637m)


32. 휘날리는 정상의 태극기


33. 수락산 주봉(637M) 정상비                       


34. 정상바위 아래의 바람구멍


35. 정상에서 내려다 본 남양주시 별내면


                        

                         36. 산행같이간 친구들과 정상에서 한컷


37. 하산길


38. 장암역 방향(산지정화감시초소 방향)으로 내려오다.


39. 고래바위


40. 아직 얼음이 언 계곡물

 

● 석림사(石林寺)

 

석림사(石林寺)는 경기도 의정부시 장암동 수락산(水落山)에 있는 지장도량 사찰로서, 봉선사(奉先寺, 남양주시 운악산에 있는 절) 말사이다. 1671년(조선 현종12년) 석현(錫賢)과 그의 제자 치흠(致欽)이 창건하였다.


41. 큰법당(大雄殿) : 현판과 기둥의 법문들이 한글로 되어있는 것이 특이하다.


42. 석림사 전경

 

43. 일주문앞에서 친구와 한컷 : 일주문 현판이 특이하게 한글이다.


44. 노강서원(鷺江書院) : 경기 의정부시 장암동(長岩洞) 수락산에 있는 서원으로서 경기 기념물 제41호이다. 1695년(숙종 21) 건립되었으
      며.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박태보(朴泰輔)는 서인(西人)으로서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진도(珍島)로 유배 도
      중 옥독(獄毒)으로 노량진(鷺梁津)에서 죽었다. 나라에서는 그의 학문을 높이 평가하여 영의정으로 추증하는 동시에 시호를 문열(文烈)
      이라 하고, 그를 추모하는 뜻에서 이 서원을 건립하였다.


45. 만장같이 난잡하게 붙어있는 산악회 산행 소개 광고물들


46. 장암역 입구에 도착하여(17:30) 친구들과 국밥집에서 얼큰한 국밥 한그릇에 소주를 한잔씩 든후에(18:30) 전철을 타고 돌아왔다.     

 

 ( 끝 )